이 글을 읽기에 앞서서 레이싱 심판 자격증 취득하기(오피셜 라이선스 취득방법)이라는 글에 전체 오피셜들은 어떠한 파트로 구성되어 있고 그 피트들이 무엇을 하는지 간략하게 설명해두었다.
레이싱 심판 자격증 취득하기(오피셜 라이센스 취득 방법)
우선 레이싱 심판 자격증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레이싱 심판(=오피셜, 마샬)에 대하여 알아보자. 오피셜, 마샬이란(=레이싱 심판)? 오피셜은 모터스포츠에서 경기를 운영하고 진행해 나가며, 심판의 권한..
philliphong0724.tistory.com
오늘은 앞선 글에서 처음 오피셜을 할 때 먼저 시작하기 좋다고 설명했던 코스 오피셜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을 하고자 한다.
코스 오피셜이란?
서킷 곳곳에 설치된 주요 포스트(Post)에서 깃발 또는 사인 보드를 활용하여 드라이버에게 상황에 따라 적절한 신호를 주는 임무를 맡는다.(나이트레이스 같은 경우 깃발을 대신하여 전광판과 같은 라이트로 드라이버에게 신호를 알려준다.)
트랙의 상황과 위험을 깃발로 드라이버에게 알려주고 사고 발생 시 현장 상황을 관제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현장에서의 트랙 정리(사고가 난 경우 사고 잔여물이 남으면 안전팀이 사고처리를 하고 큰 잔여물을 치우는데 치우고 남은 잔여물은 코스 오피셜이 경기가 마치고 정리한다.), 기본적인 구난, 구급 및 소방방재 활동도 겸한다.
(트랙 정리를 할 때 가끔 데부리 런이라고 경기중에 잔여물을 치울 때도 있지만 이때는 단독으로 행동해서는 안되고 관제의 지시를 받으면서 신속하게 행동해야 함. 데부리 런 상황에서 해당 포스트, 이전 포스트에서는 깃발을 제시한다.)
코스 오피셜의 대표적인 역할
1. 깃발 제시
2. 무전 보고
3. 랩지, 보고서 작성
상황에 맞는 깃발 제시/깃발 종류
1.체커기: 경기의 종료를 알리는 표시로 레이스 하면 떠올리는 가장 대표적인 상징 중에 하나이다.
2.청색기(청기):선두에 있는 차량이 빽마커 차량을 따라잡을 때 쓰는 깃발이다. 추월을 시도하는 차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앞차의 드라이버는 뒷차가 추월하도록 비켜 주어야 한다.
(빽마커란:맨 후미의 차량을 의미하며 꼴등을 의미하지만 차 한 대를 의미하는 것이 여러 대가 될 수도 있다.)
3.황색기: 황기란 트랙에 사고가 났음을 알리는 신호로 속도를 줄여야 하고, 황기 구간에서는 추월을 하면 안 된다. 황기는 2가지 경우가 있는데. 황기랑 쌍기가 존재한다.
황기는단순 사고일 때 쓰이고, 쌍기는 화제 발생이나 드라이버 탈출, 연속 충돌 등 사고의 규모가 클 때 사용된다.(사고에 의해서 쌍기가 제시가 되면 sc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4.흰색기(백기): 백기는 트랙에 앰블이나 견인차가 들어왔다는 신호이지만 보통은 연습이나 예선 때 차량이 서행을 하면 제시가 된다.(결승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5.적기:더 이상 경기를 할수 없다는 신호로 대형사고가 났거나 악천후로 레이스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 사용된다.(코스 오피셜을 할 때 빨간색이 들어간 옷을 입으면 경기에 지장을 주어서 드라이버가 혼돈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빨간색 옷을 입는 것을 금하고 있다.)
6.오일기:노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 즉 노면 상태가 안 좋을 때를 의미한다.(오일이 트랙상에 있거나 트랙상에 잔해물이 떨어지면 오일기를 제시한다.)
7.흑색반기:스포츠맨쉽이 결여된 행위를 한 선수에 대한 경고로서 참가번호와 함께 제시된다.
8.흑색기:페널티 차량에 대하여 참가 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해당 차량은 즉시 피트인 해야 한다.
9.오렌지볼기:경기 중 차량에 트러블이 생긴 경우 참가 번호와 함께 표시한다. 해당 차량은 즉시 피트 인 해야 한다.
10.녹기:출발 신호기로도 사용되며, 모든 위험에 대한 해제를 알려준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3 포스트에서 사고가 나서 황기를 제시하면 그다음 포스트인 4 포스트는 녹기를 제시해야 한다.)
깃발의 종류는 많지만 메인이 아닌 다른 포스트에 배치받으면 일반적으로 적기 1개, 황기 2개, 청기 1개, 백기 1개, 녹기 1개, 오일기 1개를 주로 사용한다.
무전 보고
보통 무전기를 받으면 자신의 무전 채널을 확인하고 무전기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고 묻는 것에 대해 간결하게 대답하는 것인데 그중 사고가 발생하면 쓰는 무전 순서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예시) 내가 맡은 구역인 4 포스트에서 엔트리 98번 차량이 01번 차량을 뒤에서 접촉해서 순위 변동이 있으면 “포스트 4 엔트리 98번 차량이 01번 차량을 4.3 지점에서 컨텍 순위 변동 있음”이라고 무전하면 된다.
무전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간혹 가다가 무전기 키 버튼이 눌러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사람이 무전을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무전할 상황이 아닌데 키를 잡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해본다.
랩지, 보고서 작성
랩지란?
랩지는 차량이 지나가는 순서대로 차량 번호를 적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빽마커 차량은 동그라미를 그려서 표시하고 사고가 발생하면 위에 시간, 사건 내용을 기록해둔다.
위의 사진과 같이 참가 댓수가 많은 경기는 경기 초반에 차가 한꺼번에 지나가서 엔트리를 다 못 적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선두 3대 후미 3대는 적고 중간에 놓친 번호는 남겨두고 적는다. (단, 사고가 발생하면 다른 차는 놓쳐도 사고 차량의 엔트리 하고 사고 내용은 기록해두자.)
(※보통 코스로 처음 들어가면 선임이 엔트리 번호, 데칼, 차량 특징을 익히고 경기에 흥미를 주기 위해서 랩지 작성을 알려준다.)
보고서란?
포스트 보고서란 담당 포스트에 사고가 나면 그 사고에 대해서 작성하는 보고서이다.(여기서 사고란 단순히 접촉 사고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브로킹, 숏컷, 코스 이탈 황기 구간 추월, sc상황에서의 순위 변동일 경우 등 여러 가지 상황을 의미한다.)
'차(car) > 레이싱(car rac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셜 활동기록]슈퍼카 4대 연합 트랙데이 참여기(페라리 오너스 클럽,로터스 클럽 코리아,포르쉐 클럽 코리아,M 클럽 코리아) (0) | 2019.08.19 |
---|---|
[오피셜 활동기록]슈퍼레이스 2라운드 오피셜로 활동하기(골든튤립에버용인 호텔, amg스피드웨이) (0) | 2019.06.06 |
레이싱 경기 참여하기/신청하기(feat.슈퍼레이스) (2) | 2019.05.24 |
오피셜 라이센스 등급/등급별 승급조건/라이센스 비용 정리 (0) | 2019.05.17 |
레이싱 심판 자격증 취득하기(오피셜 라이센스 취득 방법) (0) | 2019.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