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레이싱 심판 자격증 취득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서 레이싱 심판(=오피셜, 마샬)에 대하여 알아보자.
오피셜, 마샬이란(=레이싱 심판)?
오피셜은 모터스포츠에서 경기를 운영하고 진행해 나가며, 심판의 권한을 가지고 경기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맡은 진행요원을 통칭하는 말이다. 오피셜은 다양한 분야로 나뉘어서 각자 직무를 수행하며, 명령과 보고 체계를 가진다.
※여기서부터 심판이라는 표현을 오피셜로 통칭하여 설명하려고 한다.※
모터스포츠에 대해 낯선 사람들은 오피셜이 하는 역할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만큼 오피셜은 여러 가지 분야로 나누어져서 각자의 분야에서 일하기 때문이다.
오피셜의 종류 및 역할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서 각 경기마다 그에 맞는 오피셜 조직이 구성되며 경기의 종류에 따라 조직의 구성이나 규모가 변하기도 하지만, FIA 국제 스포츠 규칙에 따라 국내외에서 주로 열리는 서킷 경기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레이스컨트롤(Race Control)
레이스컨트롤은 주로 관제라 불리 오고, 경기를 총 감독하고 운영을 하는 경기 운영의 브레인을 말한다. 레이스 컨트롤은 경기위원장의 주된 업무 공간이며, 각 파트의 책임자들이 이 위치에서 레이스 전체를 지휘한다. 경기장 전체를 CCTV를 통해 종합 관찰하고, 경기위원장은 이를 바탕으로 전체적으로 경기의 진행상황을 판단하여 필요한 지시 또는 조치를 내리게 된다. 레이스컨트롤은 경기에 관련된 모든 정보 흐름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경기에 관한 모든 정보는 각 오피셜로부터 레이스컨트롤에 보고되며 경기 진행 과정에서의 모든 결정사항과 지시도 레이스 컨트롤로부터 나가게 된다.
심사위원회(Stewards of the Meeting)
대회 심사위원회는 국제 스포츠 규칙, 국내 규정 그리고 특별 규칙과 대회 운영 계획을 집행하는 최고 권한을 가진다. 심사위원회는 대회 동안에 제기되는 모든 주장이나 논란을 규정에 따라서 판단하고 결정한다.
경기위원장(Clerk of the Course)
경기위원장은 경기가 시작될 때부터 끝날 때까지 해당 경기의 진행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맡는다. 경기 시작/중단, 세이프티카 발령과 같은 중요한 결정을 내리며 경기에 참가하는 모든 오피셜을 대표하는 자격을 갖게 된다.
경기사무국장(Secretary of the Event)
경기에 필요한 다양한 행정 활동을 하는 경기 사무국의 책임자를 말한다. 경기 운영에 필요한 장비의 배포 및 수거를 계획하고 실행하며 각 경기의 모든 문서를 취합하고, 종료 보고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기위원장을 돕는다.
기록(Timekeeper)
기록 오피셜은 경주 차량들의 기록을 측정하고 관리하며, 이를 문서화하는 일을 맡는다. 잘못된 기록 측정은 레이스 전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터스포츠에서의 기록 측정은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시간 기록은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전송 또는 방송될 수도 있으나, 이는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문서화를 거쳐서 심사위원회에서 확인 서명한 것만이 유일한 공식 기록으로 발표된다.
트랙사이드(Trackside Officials)
실제 경기가 이루어지는 트랙에서 경기를 원활하게 진행하는 오피셜들이 필요하다. 트랙사이드 오피셜은 트랙을 주행하는 드라이버에게 신호를 주고 위험한 문제 또는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처리하고 추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상황을 통제하고 정리하는 직무를 수행한다.
코스(Course)
코스 오피셜은 플래그 마샬(Flag Marshal)과 트랙 마샬(Track Marshal)로 구분되나 국내 경기의 경우, 두 가지 역할을 같이 맡기도 한다. 서킷 곳곳에 설치된 주요 플래그 포스트(Flag Post)에서 깃발 또는 사인 보드를 활용하여 드라이버에게 상황에 따라 적절한 신호를 주는 임무를 맡는다. 트랙의 상황과 위험을 드라이버에게 알려주고 사고 발생 시 현장 상황을 관제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현장에서의 트랙 정리, 기본적인 구난, 구급 및 소방방재 활동도 겸한다.
<오피셜로 경기에 처음 참여하거나 경험이 별로 없는 경우 코스 오피셜을 하면서 기본적인 레이싱 흐름을 경험하는 것을 추천>
안전(safety / Emergency)
안전 파트는 구난 마샬(Recovery Marshal)과 소방 마샬(Fire Marshal), 의료 오피셜(Medical Official)등으로 구성된다.
구난 마샬은 트랙에서 사고나 고장 같은 문제가 발생해서 차량이 트랙 위 또는 주변에 멈춰 섰거나 파편, 그밖에 경기 참가자들에게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물질들이 트랙에 있을 경우, 트랙 마샬과 협력하여 빠르고 안전하게 위험 요소를 제거해서 경기가 최대한 빠르고 신속하게 정상 상태로 돌아갈 수 이도록 하는 임무를 맡는다. 차량을 견인하기 위해서 리커버리카, 크레인, 트럭을 비롯한 중장비를 활용하며 경기 기간 동안 이를 유지 관리하는 일도 구난 마샬의 책임이다.
소방 마샬은 사고를 당한 차량에 실려 있는 연료에 불이 붙었거나 차량 급유 작업, 연료 관리 부주의, 그밖에 이유로 경기장 안에서 불이 났을 때 이를 진압하는 일을 맡는다.
의료 오피셜은 경기 중에 사고 또는 그밖에 이유로 선수, 오피셜 또는 경기 관계자가 다쳤을 때 구조하고, 응급 치료를 하는 일을 맡는다.
피트(Pit)/그리드(Grid)
트랙을 주행하던 차량이 각 팀의 개러지로 들어오거나, 반대로 개러지에서 트랙으로 나갈 때 쓰이는 통로인 피트는 차량과 사람이 오가는 곳으로써 위험 요소가 많은 곳이며, 피트 위에서 차량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피트 마샬은 피트워크 때나 경기가 진행될 때 피트 구역 안에서 사람들의 통행을 통제하거나 차량이 피트에서 주행하고 있다면 경고 신호를 주어서 피트에 있는 사람들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드 마샬은 차량이 레이스를 위해 올바른 순서대로 정렬될 수 있도록 경기 차량을 안내, 통제하며, 출발 절차가 진행되는 단계에 따라서 그리드 주변에 있는 다른 오피셜과 팀 관계자, 관중, 그밖에 사람들을 통제하고 트랙 바깥으로 내보내는 일을 한다.
패독(Paddock)
패독 오피셜은 서킷 경기장에서 피트 뒤편에 마련되는 패독 구역을 관리하는 일을 맡는다. VIP 부스와 미디어센터, 레이스 컨트롤 센터 등 주요 시설이 모두 패독에 위치해 있으며, 경기 차량의 대기장소로도 쓰인다. 패독은 사람과 차량, 장비들이 빈번하게 드나들기 때문에 패독 오피셜은 패독 구역을 통제해서 사고 및 위험을 예방하고 경기가 원활하고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술(Scrutineer)
기술 오피셜은 경기에 참가하는 차량 및 각종 장비들이 규정을 지키고 있는지, 잠재된 위험은 없는지를 검사하고 감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보통 경기에 참가하는 차량은 실제 주행에 들어가기 전에 기술 오피셜에게 차량 검사를 받게 되며, 경기 기간 동안 참가자들이 규정에 위배되는 작업을 하는지 여부를 감시하고 트랙을 주행하는 차량에 문제가 있는지 관찰하기도 한다.
오피셜 신청 순서/방법
1. "대한자동차경주협회"라는 사이트에 들어간다. (http://www.kara.or.kr/public_html/index.php)
대한자동차경주협회
www.kara.or.kr
2. 홈페이지 메인에 나와있는 라이선스 신청 바로가기라는 사진을 클릭한다.
(혹은http://info.kara.or.kr/main/login?rURL=/license/licenseRequest 사이트로 들어간다.)
대한자동차경주협회 전산등록시스템
info.kara.or.kr
3. 회원가입(사이트에 들어가면 우측 상단에 회원가입 버튼이 있다.)
4. 온라인 교육 시청(오피셜 교육 영상 3가지 시청하면 된다.)
5. 온라인 테스트를 본다.(3과목 평균 60점 이상 필요하니 신중히 볼 것!)
6. 테스트 결과 확인하기
7. 오피셜 라이선스 신청
메뉴에서 라이선스 신청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여기서 오피셜을 클릭하면
짜잔~위와 같은 양식이 나온다. 위 양식에 연도, 신청 분류 등급을 선택한다.
(처음 시작하는 사람은 C2로 신청)
양식을 적었으면 오피셜 보험을 동의함을(보험비를 따로 내지 않으니깐 신청!) 체크하고 라이선스 신청 버튼 클릭한다,
8. 오피셜 라이선스 비 결제
라이선스를 신청하면 온라인으로 라이선스 비를 지출 해야하는데,지출까지 하면 라이센스 취득이 완료된다.
(C2인 경우 30,000원을 낸다.)
9. 라이선스 취득 완료
라이선스 취득이 완료되면 며칠이 지나고 라이선스가 우편으로 온다.
(라이선스가 오기 전에도 라이선스 비를 결제했으면 결제 한순간부터 라이센스 코드가 생긴다.)
참고 문헌:대한자동차경주협회
'차(car) > 레이싱(car rac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셜 활동기록]슈퍼카 4대 연합 트랙데이 참여기(페라리 오너스 클럽,로터스 클럽 코리아,포르쉐 클럽 코리아,M 클럽 코리아) (0) | 2019.08.19 |
---|---|
[오피셜 활동기록]슈퍼레이스 2라운드 오피셜로 활동하기(골든튤립에버용인 호텔, amg스피드웨이) (0) | 2019.06.06 |
레이싱 경기 참여하기/신청하기(feat.슈퍼레이스) (2) | 2019.05.24 |
코스 오피셜은 무엇을 할까? (0) | 2019.05.22 |
오피셜 라이센스 등급/등급별 승급조건/라이센스 비용 정리 (0) | 2019.05.17 |
댓글